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이야기/띵킹댓

공감능력 만렙만 가능한 표정으로 감정읽기 테스트 (해설있음)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가장 강력한 소통 도구,
바로 '표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인간의 표정의 중요성

 


실제로 소통 과정에서 말이 차지하는 비중은 7%이고 표정이 차지하는 비중은 30%이상이라고 연구자들은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케팅 종사자나 면접관등 사람을 상대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은 사람의 표정에 대해
연구를 많이하고 자신만의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해 놓기 때문에 그 사람의 심리를 파악해서
때로는 위로해주고 때로는 흔들어놓기도 하죠.

 

공감능력과 사회적 지위가 표정읽는 것과 관련이 있다?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상대의 표정만으로도 상대방의 심리 상태와 감정상태를 읽고 이해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자신의 감정과 심리를 얼굴표정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반면 공감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타인의 표정에서 감정상태를 읽어내지 못하며,
자신의 심리와 감정을 타인에게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합니다.

 

 


또한 권력,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그리고 
그 지위를 상기시키기만 해도 공감능력은 떨어진다고 합니다.
고마움을 표시하고 예의를 지키려는 노력이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타인의 표정을 읽어내는 내 공감능력은 어느정도 될 지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표정의 진화



연구진은 초기 인류가 특정 상황에서 보인 신체적인 반응이 표정으로 나타났고,
이것이 신호가 돼 의사소통과 진화에 도움을 줬다고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위협적인 상황에서 사람들은 눈을 크게 떠서 시야를 넓게 확보하고 눈동자를 빨리 움직여 상황을 파악합니다.
이때 생기는 표정이 ‘두려움(공포)’이라는 신호로 굳어졌다는 것이다.


또 역겨운 냄새가 나면 코와 입을 찡그립니다.
이 표정은 공기 중에 있는 나쁜 물질을 덜 들이마시려는 과정에서 나왔다.
이런 표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다가 ‘역겨움’의 표시로 굳어버린 것이다.

이런 신호는 혐오스러운 음식을 알리는 역할을 하거나 불쾌한 생각과 행동에 대해 표현하는 것으로도 사용됐다.


또 연구진은 감정 표현이 사회적 지위와도 관계있다고 주장했다.
당당함을 표시할 때 보통 가슴을 내밀게 되는데 이런 자세는 경쟁관계에 있는 상대방을 포용할 수 있다는 신호로 사회적인 위치가 높음을 보여 줍니다.
반대로 부끄러움을 표시할 때는 고개를 숙이거나 얼굴을 가리는 등 전체적으로 자신을 숨기려 드는데 이는 사회적인 위치가 낮음을 나타냅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진짜 미소를 지을 때는 눈의 근육이 함께 움직인다.
반면 5초 이상 소리 없이 입술만 움직여 미소를 짓는다면 이는 가짜 웃음에 해당한다.

 

 

인간의 대표적인 표정 7가지

 

위 사진은 2009년 방영된 영국 드라마 'Lie to Me'의 한 장면입니다.

'Lie to Me'는 폴 에크만의 표정 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수사 드라마로, 인간의 표정을 통해 거짓말을 파헤칩니다.

미세표정을 이용하면 10명 중 8명의 거짓말을 알아낼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얼굴의 움직임을 해독하는 것은 거짓말 탐지기보다 정확하지만,

15분의 1초밖에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면 포착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도 충분히 훈련을 통해 전문가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분노
1. 눈썹이 함께 내려간다.
2. 노려보는 눈이 된다.
3. 입술이 좁아진다.

놀람
1. 눈 전체가 올라간다.
2. 눈 끝이 올라간다.
3. 입이 벌어진다.

역겨움
1. 코를 찡그리고 있다.
2. 윗입술이 올라간다.

슬픔
1. 눈꺼풀이 처지며 위가 내려간다.
2. 눈의 초점을 잃는다.
3. 입 주위가 삼각 아래로 당겨진다.

공포
1. 눈썹이 올라가고 가로로 당겨진다.
2. 눈꺼풀이 위가 올라간다.
3. 눈 아래가 긴장된다.
4. 입술이 귀 쪽으로 살짝 당겨진다.

기쁨
1. 눈가에 주름이 생긴다.
2. 뺨이 올라간다.
3. 눈 주위를 둘러 있는 근육의 움직임이 생긴다.

경멸
1. 입술의 한편이 당겨지고 반쪽 입술만 올라간다.

 

 

 

 

이처럼 표정은 자신의 감정상태를 1차적으로 나타내는 하나의 간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상대의 얼굴을 파악하는데, 사람의 첫인상을 결정짓는데 걸리는 시간 0.02초라고 합니다.

우리의 첫인상이 남을 경멸하고 역겨워 하는 표정이면 안되겠죠?

 

오늘부터 거울 앞에 서서 밝은 표정을 연습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 합니다.

반응형